환자를 관찰하면서.......

관(觀) 이 주관적이라면 견(見) 은 객관적입니다.
환자를 득하는 방법에는 관(觀) 과 견(見) 의 두 가지 보는 법이 있습니다.
관(觀) 은 마음으로 보는 것을 말하며 견(見) 은 눈으로 보는 것을 뜻합니다.
관(觀) 은 크게 보는 것을 나타내고 견(見)은 부분적으로 작게 본다는 의미를 말합니다.
즉, 관(觀) 이란 강하며 크다는 취지로 보며 심안(心眼) 에 중점을 두라는 가르침입니다.
견(見)이란 사물을 볼 때 명확하게 보란 의미로써 육안(肉眼)에 중심을 두라는 의미가 됩니다.

한의학에서 처음 입문을 했을 당시 관(觀)에 많은 의미를 두어왔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많은 변화가 본인에게도 왔습니다.
관(觀)은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는데 근본으로 두고, 환자를 위함에는 견(見)이 필요하다 봄으로써 환자가 이해치 못한 진료는 큰 의미가 없다고 보아 진료실 자체를 영상화,
즉, 볼거리로 만들었습니다.

견(見) 이란 객관성의 도출로 환자와 함께 호흡을 하겠다는 취지입니다.
한방진료에 필요한 첨단 의료 영상시스템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환자가 이해할 수 있고 한방의료가 객관화로서 가능하다는 점과 뜬금없던 관(觀)의 공부를 견(見)으로 객관화하여 본인에 대한 자성으로 삼을까 합니다.
그렇다고 한의학 입문 당시 지녔던 관(觀)의 의미가 퇴색되었다는 뜻은 더욱 아닙니다.
자신을 뒤돌아 볼 수 있는 심안(心眼)을 기르기 위해 육안(肉眼)에 가르마하지 않도록 더욱 성심껏 노력하겠습니다.

한국한의원, 한국한의원 원장님 인사

환자를 관찰하면서.......

관(觀) 이 주관적이라면 견(見) 은 객관적입니다.
환자를 득하는 방법에는 관(觀) 과 견(見) 의 두 가지 보는 법이 있습니다.
관(觀) 은 마음으로 보는 것을 말하며 견(見) 은 눈으로 보는 것을 뜻합니다.
관(觀) 은 크게 보는 것을 나타내고 견(見)은 부분적으로 작게 본다는 의미를 말합니다.
즉, 관(觀) 이란 강하며 크다는 취지로 보며 심안(心眼) 에 중점을 두라는 가르침입니다.
견(見)이란 사물을 볼 때 명확하게 보란 의미로써 육안(肉眼)에 중심을 두라는 의미가 됩니다.

한의학에서 처음 입문을 했을 당시 관(觀)에 많은 의미를 두어왔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많은 변화가 본인에게도 왔습니다.
관(觀)은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는데 근본으로 두고, 환자를 위함에는 견(見)이 필요하다 봄으로써 환자가 이해치 못한 진료는 큰 의미가 없다고 보아 진료실 자체를 영상화,
즉, 볼거리로 만들었습니다.

견(見) 이란 객관성의 도출로 환자와 함께 호흡을 하겠다는 취지입니다.
한방진료에 필요한 첨단 의료 영상시스템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환자가 이해할 수 있고 한방의료가 객관화로서 가능하다는 점과 뜬금없던 관(觀)의 공부를 견(見)으로 객관화하여 본인에 대한 자성으로 삼을까 합니다.
그렇다고 한의학 입문 당시 지녔던 관(觀)의 의미가 퇴색되었다는 뜻은 더욱 아닙니다.
자신을 뒤돌아 볼 수 있는 심안(心眼)을 기르기 위해 육안(肉眼)에 가르마하지 않도록 더욱 성심껏 노력하겠습니다.

한국한의원, 한국한의원 원장님 인사
TOP